본문 바로가기
자산관리 page

기후동행카드(선불): 서울 지역 교통비 절약하기

by Min935 2025. 2. 17.

기후동행카드(선불): 서울지역 교통비 절약하기

 

오늘은 서울 지역의 교통비 절약 카드인 기후동행카드(선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는 K-패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K-패스와 같이 언급되는 교통비 절약 카드가 있었습니다. 바로 기후동행카드인데요.

사용한 만큼 적립이 되는 K-패스와 다른 점이 있어 알아보면 좋을 것 같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 목차 ]

 1. 💳 기후동행카드(선불)

 2. 🔍 이용 범위

 3. 📄 기후동행카드 종류

 4. 📢 기후동행카드 안내

 5. 💶 모바일 카드 발급 안내

 6. 🚗 기후동행카드 이용 방법

 7. 🚩 결론

 

1. 기후동행카드(선불)

기후동행카드는 월 1회 일정한 금액을 충전하여 서울지역의 대중교통(지하철,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정기권입니다.

* 충전 금액은 목차 4번을 참고해 주십시오.

 

2. 이용 범위

1) 서비스 범위

서울지역 지하철+김포골드라인·진접선·별내선·고양시 구간·과천시 구간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심야버스 포함)

  * 기본요금 1,500원 이하 대중교통에 한함(심야버스는 시민의 편의를 위해 예외적으로 허용)

따릉이

 

2) 지하철 세부 노선

구분 승차가능 / 하차가능 (서울지역 내)
1호선 금천구청 ~ 도봉산역 / 온수 ~ 도봉산역
2호선 전 구간
3호선 지축 ~ 오금역 (‘24.11.30 04시부터 전구간)
4호선 남태령 ~ 진접역 (‘24.11.30 04시부터 정부과천청사 ~ 진접역)
5호선 방화 ~ 강일역 / 마천역
6호선 전 구간
7호선 온수 ~ 장암역
8호선 전 구간
9호선 전 구간
신분당선 -
우이신설선 전 구간
경의중앙선 수색 ~ 양원역 / 수색 ~ 서울역 (‘24.11.30 04시부터 탄현 ~ 양원역, 탄현 ~ 서울역)
수인분당선 청량리 ~ 복정역 (모란역)
경춘선 청량리 ~ 신내역
공항철도 김포공항 ~ 서울역
김포골드 전 구간
서해선 김포공항역 (‘24.11.30 04시부터 일산 ~ 김포공항역)

 

인천 1·2호선, 신분당선, 용인, 의정부, 경강선, 공항철도 직통열차, 코레일 서울시 시계 외 구간은 승차, 하차 제외

※ 승차 역에서 승차 후 하차 불가역에서 하차 시에는 별도 이용 요금이 부과됩니다.

예시) 서울역(승차)→부평시장역(하차): 역무원에 의해 요금이 별도로 징수됨

(기후동행카드 사용 불가, 징수 요금: 서울역~부평시장역까지 이용 요금)

예외 사항: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 후, 5호선(미사~하남검단산), 7호선(석남~까치울),

공항철도(인천공항 1터미널~인천공항 2터미널)에서 하차는 가능합니다. (해당 역에서 승차는 불가)

서울시 면허 버스 이용 시: 서울지역 외에서 승하차하더라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기후동행카드 종류

1) 모바일 카드 (안드로이드 휴대전화, OS 12 이상 사용 가능)

2) 실물 카드 (iOS 기반 휴대전화 또는 디지털 약자 권장)

 

4. 기후동행카드 안내

기후동행카드 판매 안내
기후동행카드 충전안내

1) 청년(만 19세~39세) 할인은 회원가입 및 카드등록 필수입니다.

2) 실물 카드 이용자는 반드시 티머니 카드&페이홈페이지에 카드를 등록해야 합니다. (11카드 원칙)

→ 카드 미등록 시 환불 및 따릉이 이용 불가

3) 실물 카드 구매 시 3,000원 별도입니다.

4) 현금영수증 혜택: 국세청 홈페이지에 현금영수증 등록한 경우에만 적용이 됩니다.

  (이전 연도 소급 적용 문의: 국세청 상담센터 126)

5) 재충전 안내

30일권 충전

- 사용기간 만료 전: 사용개시일 선택 및 권종 변경은 불가능합니다.

(사용기간: 만료일+30일로 자동 연장, 따릉이 포함 여부 변경 불가)

(사용기간 만료 전 충전은 만료일 5일 전부터 만료일 당일까지 가능하나,오전 12~04시에는 사용기간 만료 전 충전 불가)

- 사용기간 만료 후: 최초 충전과 동일하게 사용개시일 및 권종 선택 가능

단기권 충전

- 사용기간 만료 후에만 재충전할 수 있습니다.

6) 충전처 안내

서울지역 내 1호선(서울역~청량리역), 2~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 내 교통카드 무인 충전기

(김포골드라인 역사 내 교통카드 무인 충전기: 현금 충전만 가능)

* 코레일, 공항철도, 신분당선 등에서는 충전 불가

7) 하차 미 태그

- 지하철/버스 하차 시, 태그는 필수입니다.

- 30일권: 하차 미 태그 2회 누적 발생 시, 마지막 승차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동안 사용 정지됩니다.

- 카드 재충전 시점을 기준으로 하차 미 태그 내역이 초기화됩니다.

사용기간 만료 전에 재충전을 하신 경우 재충전일을 기준으로 하차 미태그 횟수가 누적됩니다.

ex) 사용기간(3/1~3/30) 중에 3/27에 재충전한 경우, 3/27~4/29까지의 하차 미 태그 횟수를 누적합니다.

8) 기타 유의 사항

- 편의점, ATM 충전은 불가능합니다.

- 티머니 유통가맹처(스타벅스, 롯데리아, 편의점 등)에서는 사용 불가능합니다.

- 환불을 원할 시, 사용기간 내 환불신청 필수입니다. (계좌 환불/카드 부분 취소) * 단기권 동일합니다.

- 환불액 = 카드충전금 대중교통 실 사용액 수수료 500

- 국내 계좌 미보유 외국인은 티머니 본사에 방문하여 현금을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

 

5. 모바일 카드 발급 안내(안드로이드 휴대전화, OS 12 이상 사용 가능)

모바일 티머니앱 다운로드 → ②회원가입 → ③기후동행카드발급 및 충전

* 결제 수단: 계좌이체, 본인 명의 신용·체크카드

 

6. 기후동행카드 이용 방법

1) 지하철/버스

- ·하차 시 모바일 또는 실물 카드를 태그합니다. (NFC 기본모드 설정 필수)

* 하차 미 태그 2회 누적 시 직전 승차 시간 기준으로 24시간 사용 정지

 

2) 따릉이

티머니 GO’ 앱을 통해 기후동행카드 번호를 등록하면 사용기간 동안 따릉이 2시간 이용권이 제공됩니다.

모바일 기후동행카드

'모바일 티머니' 앱에서 모바일 기후동행카드 번호 확인

'티머니 GO' 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 후 기후동행카드 번호 등록

* 카드번호 확인 방법 : 모바일 티머니 앱 > 좌측 메뉴[] > 기후동행카드 메뉴 > 1032로 시작하는 숫자 16자리

* 기후동행카드 충전 후 즉시 '티머니 GO' 앱에서 카드 등록 가능

'티머니 GO' 앱에서 따릉이 2시간권 이용

 

실물 기후동행카드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

'티머니 GO' 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 후 기후동행카드 번호 등록

* 카드번호 확인 방법 : 카드 뒷면 1032로 시작하는 숫자 16자리

* 기후동행카드 충전 한 시간 후부터 '티머니 GO' 앱에서 카드 등록 가능

'티머니 GO' 앱에서 따릉이 2시간권 이용

 

7. 결론

기후동행카드는 청년일 경우 58,000~55,000,

일반의 경우 65,000~62,000원을 충전하여 서울지역 대중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울지역의 월 교통비를 위에 금액 이상으로

꾸준히 지출하시는 분이라면 K-패스와 비교하여 사용을 고려해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