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서울 지역의 교통비 절약 카드인 기후동행카드(선불)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저번 포스팅에는 K-패스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K-패스와 같이 언급되는 교통비 절약 카드가 있었습니다. 바로 기후동행카드인데요.
사용한 만큼 적립이 되는 K-패스와 다른 점이 있어 알아보면 좋을 것 같아 정리해 보았습니다.
[ 목차 ]
1. 💳 기후동행카드(선불)
2. 🔍 이용 범위
3. 📄 기후동행카드 종류
4. 📢 기후동행카드 안내
5. 💶 모바일 카드 발급 안내
6. 🚗 기후동행카드 이용 방법
7. 🚩 결론
1. 기후동행카드(선불)
기후동행카드는 월 1회 일정한 금액을 충전하여 서울지역의 대중교통(지하철,버스),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정기권입니다.
* 충전 금액은 목차 4번을 참고해 주십시오.
2. 이용 범위
1) 서비스 범위
① 서울지역 지하철+김포골드라인·진접선·별내선·고양시 구간·과천시 구간
②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심야버스 포함)
* 기본요금 1,500원 이하 대중교통에 한함(심야버스는 시민의 편의를 위해 예외적으로 허용)
③ 따릉이
2) 지하철 세부 노선
구분 | 승차가능 / 하차가능 (서울지역 내) |
1호선 | 금천구청 ~ 도봉산역 / 온수 ~ 도봉산역 |
2호선 | 전 구간 |
3호선 | 지축 ~ 오금역 (‘24.11.30 04시부터 전구간) |
4호선 | 남태령 ~ 진접역 (‘24.11.30 04시부터 정부과천청사 ~ 진접역) |
5호선 | 방화 ~ 강일역 / 마천역 |
6호선 | 전 구간 |
7호선 | 온수 ~ 장암역 |
8호선 | 전 구간 |
9호선 | 전 구간 |
신분당선 | - |
우이신설선 | 전 구간 |
경의중앙선 | 수색 ~ 양원역 / 수색 ~ 서울역 (‘24.11.30 04시부터 탄현 ~ 양원역, 탄현 ~ 서울역) |
수인분당선 | 청량리 ~ 복정역 (모란역) |
경춘선 | 청량리 ~ 신내역 |
공항철도 | 김포공항 ~ 서울역 |
김포골드 | 전 구간 |
서해선 | 김포공항역 (‘24.11.30 04시부터 일산 ~ 김포공항역) |
※ 인천 1·2호선, 신분당선, 용인, 의정부, 경강선, 공항철도 직통열차, 코레일 서울시 시계 외 구간은 승차, 하차 제외
※ 승차 역에서 승차 후 하차 불가역에서 하차 시에는 별도 이용 요금이 부과됩니다.
예시) 서울역(승차)→부평시장역(하차): 역무원에 의해 요금이 별도로 징수됨
(기후동행카드 사용 불가, 징수 요금: 서울역~부평시장역까지 이용 요금)
※ 예외 사항: 서울지역 내 역에서 승차 후, 5호선(미사~하남검단산), 7호선(석남~까치울),
공항철도(인천공항 1터미널~인천공항 2터미널)에서 하차는 가능합니다. (해당 역에서 승차는 불가)
※ 서울시 면허 버스 이용 시: 서울지역 외에서 승하차하더라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기후동행카드 종류
1) 모바일 카드 (안드로이드 휴대전화, OS 12 이상 사용 가능)
2) 실물 카드 (iOS 기반 휴대전화 또는 디지털 약자 권장)
4. 기후동행카드 안내


1) 청년(만 19세~39세) 할인은 회원가입 및 카드등록 필수입니다.
2) 실물 카드 이용자는 반드시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에 카드를 등록해야 합니다. (1인 1카드 원칙)
→ 카드 미등록 시 환불 및 따릉이 이용 불가
3) 실물 카드 구매 시 3,000원 별도입니다.
4) 현금영수증 혜택: 국세청 홈페이지에 현금영수증 등록한 경우에만 적용이 됩니다.
(이전 연도 소급 적용 문의: 국세청 상담센터 126번)
5) 재충전 안내
▶ 30일권 충전
- 사용기간 만료 전: 사용개시일 선택 및 권종 변경은 불가능합니다.
(사용기간: 만료일+30일로 자동 연장, 따릉이 포함 여부 변경 불가)
(사용기간 만료 전 충전은 만료일 5일 전부터 만료일 당일까지 가능하나,오전 12시~04시에는 사용기간 만료 전 충전 불가)
- 사용기간 만료 후: 최초 충전과 동일하게 사용개시일 및 권종 선택 가능
▶ 단기권 충전
- 사용기간 만료 후에만 재충전할 수 있습니다.
6) 충전처 안내
서울지역 내 1호선(서울역~청량리역), 2~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 내 교통카드 무인 충전기
(김포골드라인 역사 내 교통카드 무인 충전기: 현금 충전만 가능)
* 코레일, 공항철도, 신분당선 등에서는 충전 불가
7) 하차 미 태그
- 지하철/버스 하차 시, 태그는 필수입니다.
- 30일권: 하차 미 태그 2회 누적 발생 시, 마지막 승차 시점으로부터 24시간 동안 사용 정지됩니다.
- 카드 재충전 시점을 기준으로 하차 미 태그 내역이 초기화됩니다.
사용기간 만료 전에 재충전을 하신 경우 재충전일을 기준으로 하차 미태그 횟수가 누적됩니다.
ex) 사용기간(3/1~3/30) 중에 3/27에 재충전한 경우, 3/27~4/29까지의 하차 미 태그 횟수를 누적합니다.
8) 기타 유의 사항
- 편의점, ATM 충전은 불가능합니다.
- 티머니 유통가맹처(스타벅스, 롯데리아, 편의점 등)에서는 사용 불가능합니다.
- 환불을 원할 시, 사용기간 내 환불신청 필수입니다. (계좌 환불/카드 부분 취소) * 단기권 동일합니다.
- 환불액 = 카드충전금 – 대중교통 실 사용액 – 수수료 500원
- 국내 계좌 미보유 외국인은 티머니 본사에 방문하여 현금을 환불받을 수 있습니다.
5. 모바일 카드 발급 안내(안드로이드 휴대전화, OS 12 이상 사용 가능)
①‘모바일 티머니’ 앱 다운로드 → ②회원가입 → ③‘기후동행카드’ 발급 및 충전
* 결제 수단: 계좌이체, 본인 명의 신용·체크카드
6. 기후동행카드 이용 방법
1) 지하철/버스
- 승·하차 시 모바일 또는 실물 카드를 태그합니다. (NFC 기본모드 설정 필수)
* 하차 미 태그 2회 누적 시 직전 승차 시간 기준으로 24시간 사용 정지
2) 따릉이
‘티머니 GO’ 앱을 통해 기후동행카드 번호를 등록하면 사용기간 동안 따릉이 2시간 이용권이 제공됩니다.
▶ 모바일 기후동행카드
① '모바일 티머니' 앱에서 모바일 기후동행카드 번호 확인
② '티머니 GO' 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 후 기후동행카드 번호 등록
* 카드번호 확인 방법 : 모바일 티머니 앱 > 좌측 메뉴[三] > 기후동행카드 메뉴 > 1032로 시작하는 숫자 16자리
* 기후동행카드 충전 후 즉시 '티머니 GO' 앱에서 카드 등록 가능
③ '티머니 GO' 앱에서 따릉이 2시간권 이용
▶ 실물 기후동행카드
① '티머니 카드&페이' 홈페이지 회원가입 및 카드 등록
② '티머니 GO' 앱 다운로드 및 회원가입 후 기후동행카드 번호 등록
* 카드번호 확인 방법 : 카드 뒷면 1032로 시작하는 숫자 16자리
* 기후동행카드 충전 한 시간 후부터 '티머니 GO' 앱에서 카드 등록 가능
③ '티머니 GO' 앱에서 따릉이 2시간권 이용
7. 결론
기후동행카드는 청년일 경우 58,000원~55,000원,
일반의 경우 65,000원~62,000원을 충전하여 서울지역 대중교통수단을
무제한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서울지역의 월 교통비를 위에 금액 이상으로
꾸준히 지출하시는 분이라면 K-패스와 비교하여 사용을 고려해보셔도 좋을 듯 합니다.
'자산관리 p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최초 대체거래소: 넥스트레이드(NXT) 알아보기 (0) | 2025.02.21 |
---|---|
증권 계좌 개설: 증권사 비교 사항 알아보기 (0) | 2025.02.19 |
K-패스 카드: 교통비 절약하기 (0) | 2025.02.16 |
국민건강보험(4대 보험) 알아보기 (0) | 2025.02.14 |
장기투자vs단기투자: 장단점 알아보기 (0) | 2025.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