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교통비 절약에 큰 도움이 되는 K-패스에 대하여 적어보겠습니다.
얼마 전, 유튜브에서 K-패스 카드 관련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때, K-패스 카드란 존재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평소에 대중교통도 자주 이용하기 때문에 관심이 갔고 혜택도 좋아 보였습니다.
그리고 이용할 수 있는 참여 지역도 많아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 목차 ]
1. 💳 K-패스 카드
2. 📄 지원 대상
3. 🚗 교통수단(적립/제외)
4. 🔍 이용 횟수 기준
5. 💶 혜택(적립률)
6. 🌍 K-패스 참여 지역
7. 🎈 K-패스 사용 방법
8. 📢 유의 사항
9. 🚩 지역별 추가 혜택 참고
10. 📞 K-패스 문의
11. 🖋 후기
1. K-패스 카드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에서 월 15회 이상(최대 60회)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에
이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 주는 카드입니다. (1일 최대 2회까지만 적립됩니다)
2. 지원 대상: 만 19세 이상(생일 기준)
* K-패스 사업에 참여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되어 있는 주민
3. 교통수단(적립/제외)
- 적립 교통수단: 버스(광역버스 포함), 도시·광역철도(신분당선, GTX 등 포함), 공항철도 등
- 제외 교통수단: 시외(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
(별도로 승차권을 발권받는 교통수단, 타 교통수단과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
4. 이용 횟수 기준 안내
① 30분 이내 승하차 시 이용 횟수 1회로 취급합니다.
② 일 2회 초과 시 이용 금액이 높은 순으로 2회까지 지급합니다.
③ 월 60회 초과 시 이용 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합니다.
④ 월 대중교통 이용 금액 20만원 초과 시에 초과 이용 금액에 대해서는
50%만 적용하여 지급합니다. (경기와 인천은 해당 x)
5. 혜택(적립률) 안내
*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으로 이용할 시에도 지급됩니다.
* 최대 지급 금액: 월 20만 원(대중교통 이용 요금)까지는 전액 인정되지만,
20만 원 초과 시에는 이용 요금의 50%만 적용됩니다.
ex) 월 60회분에 해당하는 금액이 22만 원인 경우
20만 원+(2만 원ⅹ50%)=21만 원에 대한 환급률(20~53%) 적용 |
- 청년: 만19세~34세
-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 저소득 적립률: 앱이나 홈페이지에 로그인 후 [MY>저소득정보] 화면에서 신청

6. K-패스 참여 지역
17개 시도 210개 시군구에서 참여 중입니다.
1) 전역:
인천, 서울, 경기, 충남, 충북, 세종, 대전, 전북, 광주, 경남, 울산, 부산, 대구, 제주
2) 일부
- 강원(15)-춘천, 강릉, 원주, 양양, 홍천, 동해, 삼척, 태백, 횡성, 영월, 속초, 평창, 철원, 화천, 인제
- 경북(13)-포항, 경주, 영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 경산, 안동, 문경, 고령, 성주
- 전남(15)-무안, 순천, 신안, 목포, 여수, 해남, 광양, 나주, 담양, 장성, 곡서으 함평, 고흥, 화순, 장흥
7. K-패스 사용방법
1) 카드 발급(알뜰교통카드도 회원가입 가능)
2) K-패스 회원가입
3) K-패스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8. 유의 사항
- 가입 첫 달은 카드 변경이 불가합니다.
- 카드 변경은 월 1회 가능합니다. (월 기준: 매달 1일부터 말일까지)
- 환급금은 대중교통 이용 후 최대 14일 후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확인 x)
- 모바일 페이는 안드로이드만 지원됩니다.
- 카드 발급 후 K-패스 회원가입 필수(회원가입 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적립 x)
- 발급 및 재발급은 카드사로 문의
- 후불 교통카드를 모바일 페이 앱으로 이용할 경우 가입 일자 이전 등록한 카드는 삭제 후
재등록하여 이용해야 합니다.
- 카드사 문의: 입금 계좌 변경, 계좌 확인, 카드 배송, 한도 조회, 카드 이벤트, 결제문의
9. 지역 별 추가 혜택 참고(https://korea-pass.kr/info/use_pay.do)
- 경기도의 더경기패스
- 인천광역시의 I-패스
- 부산광역시의 동백패스
- 충남 광역 버스 전철 환승 혜택
- 충남 광역 버스 환승 혜택
- 광주광역시의 광주G-패스
- 경상남도의 혜택
10. K-패스 문의
1) K-패스 정책 및 제도 문의
- 한국교통안전공단 054-459-7441, 7442, 7446
-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044-201-5084, 5086
2) 이용 및 적립금 문의
- K-패스 고객센터 031-427-4415
11. 후기
저는 모바일 이즐로 발급을 받아 카카오페이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원래도 삼성페이로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실물 카드보다 모바일이 편할 것 같아 골랐는데
잘한 것 같습니다. 선불이라서 일정 금액 넣어두니 가계부 쓰기도 편합니다.
무료 자동충전 기능도 있는데 잔액이 부족하면 페이머니로 수수료 없이 조건부 충전하는
기능입니다. 채워넣는걸 자주 잊는 경우에는 좋을 것 같습니다.
총 3개 조건인데 최저 기준은 5천원 미만이고 1만원 미만, 최대 2만원 미만일 경우에
자동 충전입니다. 그리고 교통카드 사용 알림 기능도 있는데 승하차 때마다 카톡이 와서
해지했습니다. 중요한 적립은 K-패스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월 15회 이상 이용해야 적립금을 주는데 선불카드라 카드 연회비가 없어서
부담이 없는 것 같습니다. 신청해 두고 15회가 넘으면 적립금을 받기만 하면 되니까요.
카드마다 추가 혜택도 다 달라서, 비교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걸 잘 선택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자산관리 pag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권 계좌 개설: 증권사 비교 사항 알아보기 (0) | 2025.02.19 |
---|---|
기후동행카드(선불): 서울 지역 교통비 절약하기 (0) | 2025.02.17 |
국민건강보험(4대 보험) 알아보기 (0) | 2025.02.14 |
장기투자vs단기투자: 장단점 알아보기 (0) | 2025.02.12 |
2025년 절세계좌(ISA, 연금저축, IRP) 달라진 점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