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산관리 page

K-패스 카드: 교통비 절약하기

by Min935 2025. 2. 16.

K-패스 카드: 교통비 절약하기

 

오늘은 교통비 절약에 큰 도움이 되는 K-패스에 대하여 적어보겠습니다.

 

얼마 전, 유튜브에서 K-패스 카드 관련 영상을 보게 되었습니다.

그때, K-패스 카드란 존재에 대해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평소에 대중교통도 자주 이용하기 때문에 관심이 갔고 혜택도 좋아 보였습니다.

그리고 이용할 수 있는 참여 지역도 많아서 정리해 보았습니다.

 

 [ 목차 ]

 1. 💳 K-패스 카드

 2. 📄 지원 대상

 3. 🚗 교통수단(적립/제외)

 4. 🔍  이용 횟수 기준

 5. 💶 혜택(적립률)

 6. 🌍 K-패스 참여 지역

 7.  🎈 K-패스 사용 방법

 8. 📢 유의 사항 

 9. 🚩 지역별 추가 혜택 참고

 10. 📞 K-패스 문의

 11. 🖋 후기

 

1. K-패스 카드

K-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역에서 15회 이상(최대 60)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에

이용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해 주는 카드입니다. (1일 최대 2회까지만 적립됩니다)

 

2. 지원 대상: 19세 이상(생일 기준)

* K-패스 사업에 참여 지자체에 주민등록상 등록되어 있는 주민

 

3. 교통수단(적립/제외)

- 적립 교통수단: 버스(광역버스 포함), 도시·광역철도(신분당선, GTX 등 포함), 공항철도 등

- 제외 교통수단: 시외(고속)버스, KTX, SRT, 공항버스 등

(별도로 승차권을 발권받는 교통수단, 타 교통수단과 환승할인이 적용되지 않는 교통수단)

 

4. 이용 횟수 기준 안내

30분 이내 승하차 시 이용 횟수 1회로 취급합니다.

2회 초과 시 이용 금액이 높은 순으로 2회까지 지급합니다.

60회 초과 시 이용 금액이 높은 순으로 60회까지 지급합니다.

월 대중교통 이용 금액 20만원 초과 시에 초과 이용 금액에 대해서는

50%만 적용하여 지급합니다. (경기와 인천은 해당 x)

 

5. 혜택(적립률) 안내

* 가입 첫 달은 15회 미만으로 이용할 시에도 지급됩니다.

* 최대 지급 금액: 20만 원(대중교통 이용 요금)까지는 전액 인정되지만,

   20만 원 초과 시에는 이용 요금의 50%만 적용됩니다.

ex) 60회분에 해당하는 금액이 22만 원인 경우

20만 원+(2만 원50%)=21만 원에 대한 환급률(20~53%) 적용

 

- 청년: 19~34

- 저소득층: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

저소득 적립률: 앱이나 홈페이지에 로그인 후 [MY>저소득정보] 화면에서 신청

K-패스 적립 안내

6. K-패스 참여 지역

17개 시도 210개 시군구에서 참여 중입니다.

 

1) 전역:

인천, 서울, 경기, 충남, 충북, 세종, 대전, 전북, 광주, 경남, 울산, 부산, 대구, 제주

 

2) 일부

- 강원(15)-춘천, 강릉, 원주, 양양, 홍천, 동해, 삼척, 태백, 횡성, 영월, 속초, 평창, 철원, 화천, 인제

- 경북(13)-포항, 경주, 영주, 김천, 영천, 구미, 상주, 칠곡, 경산, 안동, 문경, 고령, 성주

- 전남(15)-무안, 순천, 신안, 목포, 여수, 해남, 광양, 나주, 담양, 장성, 곡서으 함평, 고흥, 화순, 장흥

 

7. K-패스 사용방법

1) 카드 발급(알뜰교통카드도 회원가입 가능)

2) K-패스 회원가입

3) K-패스카드로 대중교통 이용

 

8. 유의 사항

- 가입 첫 달은 카드 변경이 불가합니다.

- 카드 변경은 월 1회 가능합니다. (월 기준: 매달 1일부터 말일까지)

- 환급금은 대중교통 이용 후 최대 14일 후 앱 또는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실시간 확인 x)

- 모바일 페이는 안드로이드만 지원됩니다.

- 카드 발급 후 K-패스 회원가입 필수(회원가입 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적립 x)

- 발급 및 재발급은 카드사로 문의

- 후불 교통카드를 모바일 페이 앱으로 이용할 경우 가입 일자 이전 등록한 카드는 삭제 후

재등록하여 이용해야 합니다.

- 카드사 문의: 입금 계좌 변경, 계좌 확인, 카드 배송, 한도 조회, 카드 이벤트, 결제문의

 

9. 지역 별 추가 혜택 참고(https://korea-pass.kr/info/use_pay.do)

- 경기도의 더경기패스

- 인천광역시의 I-패스

- 부산광역시의 동백패스

- 충남 광역 버스 전철 환승 혜택

- 충남 광역 버스 환승 혜택

- 광주광역시의 광주G-패스

- 경상남도의 혜택

 

10. K-패스 문의

1) K-패스 정책 및 제도 문의

- 한국교통안전공단 054-459-7441, 7442, 7446

-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 044-201-5084, 5086

2) 이용 및 적립금 문의

- K-패스 고객센터 031-427-4415

 

11. 후기

저는 모바일 이즐로 발급을 받아 카카오페이로 이용하고 있습니다.

원래도 삼성페이로 대중교통을 이용해서 실물 카드보다 모바일이 편할 것 같아 골랐는데

잘한 것 같습니다. 선불이라서 일정 금액 넣어두니 가계부 쓰기도 편합니다.

 

무료 자동충전 기능도 있는데 잔액이 부족하면 페이머니로 수수료 없이 조건부 충전하는

기능입니다. 채워넣는걸 자주 잊는 경우에는 좋을 것 같습니다.

3개 조건인데 최저 기준은 5천원 미만이고 1만원 미만, 최대 2만원 미만일 경우에

자동 충전입니다. 그리고 교통카드 사용 알림 기능도 있는데 승하차 때마다 카톡이 와서

해지했습니다. 중요한 적립은 K-패스 홈페이지에서 볼 수 있으니까요.

 

그리고 월 15회 이상 이용해야 적립금을 주는데 선불카드라 카드 연회비가 없어서

부담이 없는 것 같습니다. 신청해 두고 15회가 넘으면 적립금을 받기만 하면 되니까요.

카드마다 추가 혜택도 다 달라서, 비교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걸 잘 선택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